'저탄소 녹색성장 수산 정책방향' 세미나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최근 부각되고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과 관련해 지난 25일 교육문화회관에서 '저탄소 녹색성장 수산 정책방향'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이춘우 부경대 교수는 "2013년 이후부터 우리나라도 온실가스 의무감축국에 포함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어업활동에 있어서 탄소배출이 많은 업종, 즉, 트롤이나 저인망과 같은 끌어구류, 집어등을 사용하는 오징어·갈치 채낚기, 선망어업 등은 향후 탄소배출을 줄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수산물 생산과정에 배출되는 탄소량에 대해서는 아직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되지 않아서 앞으로 다가올 탄소배출 규제에 무방비 상태"라면서 "각종 수산물의 생산, 가공 및 유통과정에 발생하는 탄소량을 정확히 분석하고 탄소배출이 많은 과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수산업에 있어서도 에너지를 적게 쓰고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수산물의 생산에서 소비까지 모든 과정에 있어서 탄소배출량을 산정하는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탄소가 많이 배출되는 작업과정에 새로운 기술을 개발 적용해 탄소배출을 감소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저인망이나 트롤은 어업경비 중 에너지비용 지출이 30∼40%에 달하고 있고, 오징어 채낚기의 경우 집어등을 점등하기 위한 발전기에 소비되는 에너지 비용이 어업경비의 40∼50%까지 달하고 있어 어업의 경쟁력확보를 위해서도 연료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저탄소 기술이 개발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어선의 이동 및 어장탐색상의 저탄소화를 위해 어선의 선형, 노즐 플로펠러, 지능형 어장탐색 시스템 등의 기술개발을 제시했으며 저탄소형 어구개발로써 예망 저항 저감형 그물, 고장력 UC 그물, 경량 그물 등의 기술개발을 제시하는 한편 조속한 LED 집어등 사용을 권고했다. 류정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어업자원연구팀장은 "저탄소 녹색성장 수산업이란 저탄소 산업구조로 수산업의 구조를 바꾸면서 성장을 추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며 '저탄소 녹색성장 수산업'이란 비전제시의 전제조건으로써 저유류 사용 수산업 구조 실현, 저비용 수산업 구조 재편, 부가가치 제고 어업 실현, 포스트 교토 체제 대응 및 녹색성장산업으로 수산업 발전 등을 들고 이러한 비전 달성을 위한 목표로 저탄소 어업구조로의 개편과 미래 신성장동력 수산업화를 제안했다. 그는 '저탄소 녹색성장 수산업' 실현을 위한 전략으로써 창과 방패 5대 전략과 32개 과제를 제시했다. 창의 전략으로는 저탄소 어업구조 재편, 녹색성장 수산업화, 녹색성장 수산업 실현 R&D 등 3대 전략을 그리고 방패 전략으로는 녹색성장 수산업 기반조성과 지구온난화 적응 등 2대 전략을 제안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정명생 박사는 "우리나라도 기후변화협약 이행에 대비해 어업부문의 경제적 영향분석과 같은 사회과학적 연구와 더불어 연료절감 및 에너지 효율 증대를 위한 기술개발, 바이오연료의 실용화 기술개발, 수산폐기물 재활용 기술 개발 등 자연과학적 연구가 시급하다"면서 "또한 아직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지 못한 해조류의 국제적 이산화탄소 흡수원 인정을 위한 기초연구와 국제적 공조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2013년 이후 의무감축에 대비한 온실가스 감축, 온실가스 흡수, 온난화 적응 등 수산부문의 환경친화적 저탄소 수산업 생산시스템 구축을 위한 중장기 정책추진 로드맵 작성도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국립수산과학원 서영상 박사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정책 방향으로 어업자원관리는 인위적인 관리보다는 기후변동에 순응한 관리가 돼야 한다"면서 "기후변화를 민감히 감지하고 모니터링한 결과를 토대로 수산 및 양식자원 변동을 예측하고, 풍어가 예상될 때 많이 잡고, 흉어가 예상될 때 적게 잡도록 관리해야 하며 기후변화는 국지적 현상이 아니므로 국제공동조사 및 연구협력을 확대·강화하는 정책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수산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