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철을 맞은 경남지역 굴 양식업계가 풍작에도 일본 원전 오염수 후유증에다 경기 둔화로 위축된 소비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어 울상이다. 여기에 김장철 특수 역시 예년만 못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어민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굴수하식수협은 지난 24일 통영시 용남면 굴수협 위판장에서 2023년도 햇굴 초매식을 열었다. 겨울이 제철인 굴은 10월 중순부터 이듬해 6월까지 통영과 거제, 고성 앞바다에선 1만 4000여톤에 달하는 생굴이 수확돼 전국 각지로 공급된다.

굴 박신장이 300여 곳에 달하고 가공시설까지 포함하면 연관 산업 종사자는 1만 2000여 명에 이르는데 올해는 태풍이나 이상 고온 피해가 적었던 데다, 긴 장마로 육지에 있던 각종 영양분이 바다로 다량 유입돼 어느 해보다 작황이 좋다.

굴수협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에 대한 불안이 온전히 가시지 않은 만큼 안전한 먹거리 공급에 집중하고 있다. 굴수협 관계자는 “매일 경매실시 전 경남도 수산안전기술원에 시료를 보내 적합판정을 받은 후 경매를 개시하는 등 생산단계부터 식품안전관리에 전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 직후 직격탄을 맞을 것이란 우려와 달리, 수산물 소비는 오히려 늘었지만 고물가·고금리·고환율·고유가 등 4중고로 인한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소비재 시장이 얼어붙었다.

어민들은 애써 키운 굴들이 제값을 받지 못할까 봐 걱정이다. 지금처럼 소비가 둔화된 상황에 생산량만 늘면 산지 가격은 폭락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굴 양식업계는 수도권 김장이 시작되는 11월 중순에서 남부 지방 김장이 마무리되는 12월을 연중 최대 성수기로 꼽는다. 하지만 직접 김치를 담그는 가정은 해마다 줄어드는 추세이고 배추 등 주요 김장 재료 가격까지 크게 올라 경제적 부담도 커졌다.

게다가 최근엔 새우젓이 대체재로 떠오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굴 특유의 비릿한 향을 싫어하는 젊은 소비자들이 최근 새우젓이 내는 깔끔한 맛을 선호하고 있다”면서 “최대 소비처인 수도권과 내륙지역을 중심으로 이런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해 작황, 생산량에 따라 가격과 수급에 부침이 심한 생굴보다는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새우젓을 취급하는 게 수월하다는 설명이다.

한 어민은 “출하 초반에 소비를 끌어내지 못하면 자칫 1년 농사를 망칠 수도 있어 더욱 과감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분위기를 띄워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수산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