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수과원)은 최근의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수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그리고 기후변화 대응 연구 결과를 종합한 ‘2022 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 및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기후변화 국내외 과학·정책 동향, 기후변화의 해양 환경 및 생태계 영향, 한국 주변해역 수산자원 변화, 기후변화 대응 양식업 적응능력 강화, 기후변화 대응 수산분야 적응 기술 개발 등 총 5개의 분야로 구성돼 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기후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해역은 지난 54년간(1968~2021) 약 1.35℃ 수온이 상승해 해양온난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상수온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독성해파리 및 아열대성 어종의 출현이 증가하며, 패류독소의 출현시기가 앞당겨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같은 기간 전 세계 평균 표층수온은 0.52℃ 상승해, 우리나라 해역이 약 2.5배 높은 수온상승율을 보였다. .

2010년 이후 우리나라 해역은 여름철 고수온과 겨울철 저수온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2021년 7월 동해의 수온은 전 지구 해역 중 평년 대비 수온이 가장 높은 해역 중 하나로 나타났다.

국지적인 강수량 변화, 표층 수온 상승 및 성층(해수에서 수온과 염분에 따른 밀도 차이에 의해 층이 구분되는 현상) 강화의 영향으로 표층의 염분과 영양염 농도는 감소하는 추세이며, 식물플랑크톤은 크기가 작은 종들이 우점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비성 패류독소의 발생시기는 10여 년 전 봄철(3~4월)에서 최근에는 겨울철(1~2월)로 점차 앞당겨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우리나라 연근해 수온은 2100년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고, 수온상승 및 해양환경 변화로 미래 양식업 및 어선어업 전반에 걸쳐 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됐다.

국립수산과학원은 IPCC RCP 시나리오를 적용한 해양기후모델을 자체적으로 구축하고 2100년까지 우리나라 해양의 미래 전망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RCP 시나리오는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에서 제5차 평가보고서에 활용한 온실가스 대표 농도 경로 시나리오, RCP 4.5는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상당히 실행된 경우를 가정한 시나리오, RCP 8.5는 현재 추세대로 온실가스의 저감없이 배출이 증가된다는 시나리오다.

전망 결과, 우리나라 연근해 수온은 현재 대비 2050년경 약 1∼2℃, 2100년경 약 2∼4℃ 상승할 것으로 예측돼 전 지구 평균 표층 수온 상승 경향과 비교해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우리나라 수온 상승 전망의 최대치(RCP 8.5)를 적용했을 경우, 양식 김의 생산 가능 기간이 축소되고, 채묘 시기도 현재보다 지연될 것이 예상돼 생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수온 상승과 환경변화로 아열대 어종의 출현 증가와 주요 수산자원의 서식지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됐다.

수과원은 심화되는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양식품종, 양식 기술, 수산질병 대응, 수산자원 예측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개발 연구를 추진 중인데 생명공학 기술을 접목한 고수온 내성 품종 개발, 고수온에 잘 견디는 아열대성 어종 양식 기술 개발, 친환경 양식 기술 개발, 생태계 기반의 수산자원 변동 예측기술 개발 등 다양한 기후변화 적응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장·단기적 전략을 수립해 기후위기에 따른 수산업의 피해 최소화 및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수산재해 피해 최소화를 위해 매년 ‘고수온·적조 종합 대책’을 수립하고, 지자체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피해 사전 예방 및 선제적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매 5년 단위의 ‘기후변화대응 해양수산부문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제4차 계획(‘22~26)에서는 수산업·어촌 기후위기 영향평가 제도 도입, 어업관리제도의 개선, 수산자원 변동 예측 기술 고도화, 기후위기 대응 양식보험 상품 다양화 등의 정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수산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