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표준산업분류체계로는 해양수산업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2018년에 통계청 승 인 하에 해양수산업으로 분류될 수 있는 9개의 대분류산업이 ‘해양수산업 특수분류체계’로 구 축됐다. 이에 KMI는 해양수산업 중심의 산업연관표(2010-2015년)를 새롭게 작성했고, 이를 토대로 해양수산업의 규모와 산업구조를 파악하고, 수요유도형 모형 기반 외생화 기법을 적 용해 해양수산업의 외생적 산출증가에 따른 생산·부가가치·고용 유발효과를 분석했다.

2015년 해양수산업의 산출로 인한 국민경제 직간접 유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총생산유발효과는 274조 원(직접 148조 원, 간접 126조 원), 총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87조8천억 원(직접 38조4천억 원, 간접 49조4천억 원), 총 취업유발효과는 137만 명(직접 59만6천 명, 간접 77만7천 명)으로, 부가가치와 취업부문에서 간접효과가 큰 경향을 보였다. 해양수산업의 총 생산유발효과는 농림축산부문(88조 원)의 3.1배에 해당하며, 전기 및 전자기기부문(504조 원)의 54.4%에 해당한다.

2015년 해양수산업 총산출액(직접)은 약 147조9천억 원, 부가가치(직접)는 약 38조4천억 원으로 추산된다. 해양수산업은 기존의 30개 전산업(대분류)과 비교했을 때 총산출 측면에서 9위, 부가가치 측면에서는 15위에 해당됐다. 해양수산업의 총산출 규모는 1위 산업인 전기 및 전자기기(345조4천억 원)의 42.8%, 건설(207조9천억 원)의 71.2%, 자동차(190조1천억 원)의 77.8%에 해당하는 규모이며, 농림축산(54조 원)의 약 2.7배에 해당한다. 부가가치 규모는 해양수산 관련 서비스(26%), 선박 및 해양플랜트 건조수리(20%), 수산업(생산, 가공, 유통, 19.5%), 해운(18.1%), 항만(5.5%) 순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부가가치측면에서 보면, 해양석유 및 가스채취업과 해양관광업이 주를 이루는 세계 해양수산업 구조와 달리, 우리나라의 해양수산업은 제조와 서비스 부문에 특화된 편이다.

시계열 변화를 살펴보면, 조선업을 제외할 경우 해양수산업의 부가가치는 2010년 24조5천억에서 2015년 30조7천억 원으로 연평균 4.7% 증가했으며, 취업자수도 2010년 43만2천 명에서 2015년 47만5천 명으로 연평균 1.9% 증가했다. 또한, 같은 기간, 수산물 유통, 수산물 가공, 해양수산 레저․관광, 해양자원개발 및 건설 등의 서비스업 부문은 전산업 평균 부가가치 성장률(5.8%) 이상의 고성장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세계 해운 및 조선경기 침체로 인해 해양수산업 총부가가치(직접)는 2010년-2015년 사이 42조4천억 원에서 38조4천억 원으로 감소했다. 해양수산업 내 비중이 큰 두 산업의 감소세가 해양수산업 변동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해양수산업의 성장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대응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부가가치율과 취업계수가 높은 해양수산 성장 Key Sector인 수산물 유통업, 항만업, 해양 수산 레저‧관광업, 해양수산 관련 서비스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은 동일 금액을 투자할 경우 부가가치 및 고용 측면 창출 효과가 다른 산업에 비해 큰 산업으로, 정책의 효과성이 높고 향후 성장이 기대되는 산업인 만큼 성장전략 마련이 시급한 부문이다. 둘째, 해양수산업 내 비중이 큰 해운․조선․항만, 수산 등 주요 산업의 양적 규모 유지 및 확대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수산업은 유통부문의 경쟁력 강화와 가공부문 고부가가치화가 시급하며, 해운․조선분야는 업계의 상생전략과 정부차원의 R&D지원, 금융․법률 등 연관 서비스업 연계와 같은 다양한 산업정책의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해양수산 레저․관광 부문은 양적 비중은 작지만, 부가가치와 고용측면에서 성장 잠재력이 높은 부문이다. 향후 여가 트렌드와 해양레저 수요를 고려한 성장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소비-공급 양측면의 활동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면밀한 산업규모 측정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해양수산 관련 서비스업은 가장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으며 부가가치율이 높 아 향후 성장이 기대되는 부문이므로, 해양수산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부문 육성을 위한 정 책적 지원과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수산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