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147만톤에 달했던 어획량이 지난해는 101만톤으로 급감했고 어가인구도 2000년 25만명에서 2018년에는 11만 7천명으로 18년 만에 50%가량 줄었으며 특히 65세 이상의 어촌인구가 36.3%에 달해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등 우리 수산업이 큰 어려움에 직면에 있다.

양식어장은 밀식과 노후화 등으로 인해 환경오염 및 생산성 저하가 심화되고 있고 수산물 수출은 증가추세에 있으나, 수출시장이 일본, 중국, 미국에 편중돼 있으며 복잡한 수산물 유통구조로 인한 높은 유통비용으로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불이익을 받고 있다.

해양수산부가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수산업 현장은 수산자원 감소, 어가인구 감소 및 어촌 고령화가 심화되는 구조적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분야별 분절된 정책 수립, 이행이 아니라 수산업 전반을 혁신하는 종합적인 중장기 마스터플랜을 수립하는 것이 시급히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해수부는 2030년까지 수산자원 관리부터 생산, 유통, 소비까지 모드 단계를 혁신하기 위한 ‘수산혁신 2030 계획’을 수립하고, 연근해어업인, 양식어업인, 어촌주민, 수산기업인, 일반국민 등 정책고객 부문별로 수산혁신계획을 제시했다.

해수부는 ‘수산혁신 2030 계획’을 차질없이 이행한다면 ‘지속가능한 젊은 수산업, 함께 잘사는 어촌 실현’을 비전으로 삼아 2016년 67조원이던 수산업 전체 매출액을 2030년 100조원으로, 2017년 4900만원이던 어가소득을 2030년 8천만원으로 끌어올리고, 4만개의 신규 일자리를 수산분야에서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해수부가 ‘수산혁신 2030 계획’의 실행을 통해 우리 수산분야가 직면해 있는 현안들을 ‘해결해 나가겠다고 하는 의욕은 높이 평가하지만 산적돼 있는 문제들이 한두 가지가 아닌데도 결론은 그야말로 장밋빛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화려(?)하다 극심한 경기 침체로 수산물 판매 부진이 지속되고 있고 가격마저 하락하거나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어 수산업 종사자들이 큰 고통을 받고 있고 현장에서는 구인난에다 급격한 인건비 상승에 따른 채산성 악화로 존폐의 기로에 서 있는 업체들이 증가하고 있다.

수산인신문은 이러한 상황에서 수산업 종사자들이 직면한 여러 가지 어려움을 타개하고 수산에 대한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수산 각계 전문가들 및 현장 수산인들의 여론을 수렴하고 이를 정부에 전달하고 정책에 반영토록 하는 언론 본연의 역할을 더욱 더 충실히 수행하기로 창간 27주년을 맞아 다시 한번 다짐한다.

저작권자 © 수산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