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중앙회 및 강원·경북 관내 일선수협들이 정부의 과학연구용 포경 허용 방침을 적극 환영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수협은 9일 성명을 통해 정부가 지난 4일(현지시간) 국제포경위원회에서 과학연구용 포경을 재개할 방침을 국제사회에 통보한 것과 관련, “어업인들은 지난 26년간 제한됐던 고래잡이를 정부가 과학연구용으로 허용한 데 대해 진심으로 환영의 뜻을 표한다”고 밝혔다.

수협은 우리나라 연근해에 서식하는 고래 8만5천여마리가 1년 동안 먹는 수산물은 연간 14만6000톤으로 전체 연근해 생산량의 123만톤의 12%에 달하고 금액으로는 4380억원에 이르러 어족자원이 고갈되는 원인의 하나로 자리 잡은 지 오래라고 주장했다.

수협은 이는 고래가 더 이상 인간의 동반자만은 아니라는 사실을 반증하며 고래가 수산업에 미치는 피해에 대해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어업인들은 정부가 매년 엄청난 예산을 투입하며 종묘방류, 바다숲 조성 등의 수산자원 증식 정책을 진행하고 있으나 고래로 입는 수산피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함께 이뤄지지 않아 실질적인 증식에 늘 아쉬움이 있었다고 밝혔다.

수협은 다행히 이번에 과학연구용 포경이 허용됨에 따라 어업인들은 고래로 인한 정확한 피해와 개체수 증가로 인한 바다생태계의 영향, 먹이사슬 문제 등이 명확하게 풀려 더 이상 힘없는 어업인들이 피해를 보는 일이 없기만을 학수고대하고 있다며 정부 조치에 적극 협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강원도내 9개 수협은 지난 8일 공동 성명서를 통해 정부의 포경 허용 방침을 적극 지지하며 환영한다고 발표했다. 동해안 어업인들은 고래가 크게 증가하면서 어업기반이 붕괴될 정도로 피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오징어, 정어리, 고등어, 청어, 꽁치, 멸치 등 동해안에서 많이 잡히는 회유성 표층성 어류를 마구 잡아먹어 수산 자원 고갈이 심화되고 있고 종묘 방류와 바다숲 조성 등 수산자원 조성 노력도 물거품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 “오징어 조업 중 돌고래 떼가 나타나면 조업 자체를 포기해야 하고 그물 속 물고기를 먹기 위해 고래가 어구를 훼손하는 사례도 비일비재하다”면서 “고래로 인한 어업인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과학연구용 포경은 반드시 허용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북도 어업인들이 정부의 고래 과학조사 포경 허용을 지지하고 나섰다. 포항수협, 구룡포수협 등 10곳은 지난 10일 성명서를 통해 “고래 서식으로 어업 활동에 막대한 피해를 입은 것은 물론 생계를 위협 받고 있다”면서 “어로작업을 할 때 습격해 어군을 쫓거나 먹는 돌고래류는 국제포경위원회(IWC)역시 포경제한을 하지 않기 때문에 포경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수협들은 고래의 과다 번식과 왕성한 식성으로 어업인의 생계는 물론 어군을 공격해 안전 위험에 노출된 실정이므로 우리 연근해에 과다하게 번식한 뒤 활동하고 있는 고래의 개체수를 합리적으로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래마을’ 장생포 주민과 어업인들은 포경 재개로 30년 가까이 침체했던 지역경제가 살아나고 어획량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어업인은 “장생포의 일자리가 30% 정도 늘어나고 관광객이 몰리면서 고래음식점도 활성화될 것”이라며 “새우나 꽁치, 플랑크톤 등을 먹어치우는 고래 개체가 줄어들면 다른 어족 자원이 늘어나 어업인들의 수입도 나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수산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