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해양환경‧기후연구실 이윤정 전문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해안가 플라스틱 쓰레기의 약 60%는 육상에서 유입되는데 지난 5월 발표된 해양수산부의 ‘해양 플라스틱 대응 정책’은 해상기인 발생원에 대한 예방 사업과 바다에 유입된 후 수거하는 사업에 치우쳐 있어 육상에서 유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대응에는 미흡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해양에 유입된 플라스틱이 분해되면서 온실가스를 유발하고, 작게 부서진 미세플라스틱은 동·식물성 플랑크톤의 탄소 흡수 능력을 저하시켜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해양수산부가 ‘제3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우리나라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 인식조사에 따르면, 일반 국민은 육상기인 발생원에 대한 관리 필요성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강과 하천을 통해 유입되는 해양쓰레기를 효과적으로 통제하려면 환경부의 오․폐수 관리, 폐기물 관리, 강․ 하천 쓰레기 관리 정책이 해양쓰레기 주무부처인 해양수산부의 해양쓰레기 정책과 연계 수립돼야 할 필요가 있다.

이윤정 연구원은 육상기인 해양 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 해양수산부는 육상기인 해양 플라스틱 유형, 발생 시기, 영향을 조사하고 지역별로 해양 플라스틱 발생 특성을 파악한 맞춤형 대응 계획을 수립한 다음, 해양 플라스틱이 대량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에 대한 대응조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같은 정책과 함께, 환경부와 협력해 하수구 통로나 하천의 플라스틱 폐기물 차단 능력을 강화하고 대중인식 연구(Public Perception Research)를 통해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해양 플라스틱 예방사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수산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