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수산업이 재도약하려면 어업 생산 체계를 저비용 고효율 구조로 재편하고, 고부가 수산식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유통 시스템을 조속히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부산수산정책포럼은 지난 27일 오후 부산 벡스코에서 수산업계와 유관 기관 관계자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 수산업 위기 극복 및 발전방안’을 주제로 ‘제13회 부산수산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열린 이날 포럼에서 산·학·연·관 수산분야 전문가들은 부산 수산업의 현황과 위기 원인을 진단하고,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논의했다.

종합토론에서 정연송 대형기선저인망수협 조합장은 “이달 들어 서해에서 622척의 중국 어선이 조업하고 있지만, 우리 근해 어선들은 각종 규제에 묶인 탓에 불법 조업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며 “중국 어선들의 무차별 조업에 대한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과 함께 TAC(총허용 어획량) 규제 완화 사업을 즉각 시행해 근해 어선들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상고 부경대 해양산업경영학과 교수는 “연간 연근해 어획량 100만t 언저리에 머물고 있는 대한민국 수산업의 실태는 위기가 아니라 엄연한 현실”이라며 “수산자원 관리 정책을 이행 가능한 수준에서 시행하고, 업계 주도의 생산 체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정부와 부산시가 수산정책을 펴야 한다”고 말했다.

백현충 부산일보 해양산업국장은 “어획 증가가 한계에 부딪힌다면 결국 양식업으로 가야하는데, 해수부가 양식의 기술적 성공에 치중할 뿐 양식 수산물의 수출 등 판로로 이어질 수 있는 마케팅 정책 지원이 미진하다”고 지적했다.

류정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부산 수산업이 위기를 극복하려면 안전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수산식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을 확보하고 부산시도 유통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밝혔다.

류 연구위원은 안전한 수산식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저비용 고효율 자원관리형의 어업구조 ▷소비자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수산식품의 산업화 ▷위생안전 수산물 공급시스템을 확보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특히 수산식품을 산업화하기 위해서는 소매중심, 노인과 신세대 맞춤형 제품, 고부가가치 수산물 유통 구조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수산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