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내 전역의 어류폐사체를 처리하던 유기질비료업체가 이달부터 물량을 반입하지 않기로 하자 통영시가 이를 대체할 매몰지 확보에 고심하고 있다.

통영시는 지난 9일 오후 2청사 회의실에서 통영수협과 욕지수협, 어업인 등이 참석한 가운데 ‘어류폐사체 발생 대비 간담회’를 갖고 여름철 적조와 고수온에 대비해 어류폐사체 처리방안을 논의했다.

시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통영에는 해상가두리 82어가 218.97㏊, 육상양식 18어가 2.2㏊, 전복양식 13어가 12.03㏊ 등 모두 114어가 234.33㏊의 어류와 전복이 양식되고 있다. 어종별로는 조피볼락(우럭)이 9270만7000 마리가 양식되고 있는 것을 비롯해 돔류 3809만 마리, 쥐치 1488만 4000마리 등 모두 1억6557만 마리가 양식되고 있다.

시는 그동안 섬 지역 폐사체는 부지를 확보해 매몰처리해 왔으며 산양읍 등 육지에서 발생한 폐사체는 톱밥을 섞어 유기질 비료를 만드는 비료공장에 맡겨 처리해 왔다. 475만2000만 마리 286톤의 어류가 폐사한 지난해의 경우, 욕지도에서 폐사한 220톤은 욕지수협이 자체 매몰지를 확보해 처리했고 나머지 66톤 가운데 A농업법인이 50톤을, 전남지역의 B업체가 16톤 처리했다.

그러나 어류폐사체를 받아 유기질 비료를 생산하던 A농업법인이 이달부터 처리물량을 반입하지 않기로 마을주민과 합의하면서 문제가 생겼다. 시는 급한대로 매몰지를 미리 확보해 집단 폐사에 대비한다는 계획이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욕지수협 김현영 지도·총무과장은 “도로에 인접한 매몰지는 땅을 구하기 힘들고 땅값도 너무 비싸 확보가 어렵다”며 “마을에서 떨어진 곳을 찾아 미리 장비를 투입해 길을 내서 매몰해야 하는 형편”이라고 말했다.

통영해수어류양식회 이윤수 회장은 “지금까지는 소량을 처리하는데 그쳐 그나마 다행”이라며 “그러나 대량으로 발생할 경우 매몰지를 찾으려면 좋아할 주민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산어류양식 자율관리공동체 강남태 위원장은 “일본의 경우 파쇄해 버리는 것으로 알고 있다. 우리도 폐사체를 파쇄해 바다에 버리는 방법도 찾아 봐야 할 것”이라며 “현행법에 위배된다면 법 개정을 통해서라도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이 외에도 폐사한 어류사체를 악취 없이 보관할 수 있도록 냉장보관시설을 확보하는 방안 등이 제시됐다.한편, 시는 올해 집단 폐사에 대비하기 위해 폐사체 임시 보관통을 9통(140톤 분량) 준비해 놓고 있으며 하루 100㎏처리가 가능한 어류 소각처리기 8대를 확보하는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시는 또 전남지역 비료업체와 폐기물 위탁처리 용역계약도 완료한 상태다.

저작권자 © 수산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