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촌지역 고용 통계는 산업구조의 특성, 경기 동향, 삶의 질 등을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은 정주여건의 핵심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어촌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어촌지역 고용통계 작성이 필요하다. 본 과제는 2017년에 수행한 현안과제 ‘어촌지역 고용지표 통계생산을 위한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통계청에서 조사한 경제 총 조사 마이크로데이터로부터 어촌계 또는 어항이 있는 전국 읍면동 423개 어촌지역의 자료를 추출해 고용통계를 작성했다. 본 연구를 통해 시·군·구 어촌지역의 연간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 통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됐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매년 시·군·구별 종사 고용인력 증감을 발표할 예정이다.

2015년도 말 기준으로 어촌지역 사업체 수는 326,044개사로 전국 사업체 3,874,167개사의 8.4%를 점유하고 있으며, 종사자 수는 1,684,460명으로 전국 종사자 수 20,889,257명의 8.1%인 것으로 집계됐다. 2014년 전국사업체 조사와 비교할 때 사업체 수는 2.6% 증가했지만 종사자 수는 1.9% 감소했다.

어촌지역에 위치한 사업체는 산업별로는 도매 및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제조업 순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광업(소금산업)의 경우 전국 사업체중 61.3%가 어촌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전라남도가 63,264개사, 부산광역시 57,687개사, 경상남도 44,503개사 순이다. 사업체 수는 어촌지역의 인구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돼 어촌지역의 정주여건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어촌지역 사업체 종사자 수는 제조업, 도매 및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건설업 순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됐는데, 지역별로는 부산지역이 315,716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전남 286,104명, 경남 208,929명 순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전체 63.8%, 여성종사자는 36.2%이다. 여성종사자는 숙박 및 음식점업이 138,425명으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도매 및 소매업 99,066명, 제조업 91,977명 순이다.

본 통계는 개인정보로 인한 일부 마이크로데이터의 결측치로 인해 세세산업 통계를 집계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①관광, 제조업, 상업지역이 발달한 어촌지역에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가 많다는 점, ②시도별로 사업체 또는 종사자 수가 많은 어촌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도 많다는 것은 수산·어촌 정책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결국 어촌지역의 정주여건에서 고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중요함을 함축하고 있다.

따라서 어업 또는 수산업에 치우친 어촌정책을 사업체 유치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까지 확대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현재 어촌의 중점정책인 어촌 6차산업화와 귀어·귀촌에 대한 근본적인 정책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저작권자 © 수산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