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가 수산물 유통비용을 줄이기 위해 금년 상반기 중 유통산업발전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산물 유통혁신 로드맵(2018~2022)’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나 유통 전문가들은 실제로 유통단계 축소가 가능할 것인지에 대해 강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수산물의 생산·수급현황과 산지-도매-소매단계의 수산물 유통경로․비용 등의 내용을 담은 ‘2017년 수산물 생산 및 유통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4개 대중성 품목의 유통비용 조사결과, 유통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명태 66.3%, 고등어 56.7%, 갈치 44.7%, 오징어 45.9%로, 2017년 생산량 가중치를 적용하면 4개 품목에서 유통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51.8%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즉 수산물 소비자가격을 1,000원이라 가정하는 경우, 생산자 수취가격이 482원,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체 유통비용이 518원을 차지한다. 이 기준에 따라 살펴보면 유통비용은 산지에서 83원, 도매 단계에서 140원, 소매 단계에서 295원이었다. 해수부는 소매단계에서 유통비용이 높은 이유는 수산물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추가비용 발생, 손질 및 포장 등 상품성 제고 노력, 매장 유지관리비 등에 따른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수산물 유통혁신 로드맵(2018∼2022년)’을 만들어 상반기(1∼6월)에 발표할 계획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수산물 산지에 전(前)처리, 가공 시설을 갖춘 현대적 산지 거점 유통 센터를 설립하는 등 다양한 보완 방안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이같은 정부의 발표에 대해 수산물 유통 전문가는 “국내에는 식용/비식용 구분 없이 연간 450만톤의 수산물이 공급되는데 정부는 이것을 국민들이 다 먹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실제로 산지에서 소비지 공영도매시장을 통해 거래되는 수산물은 연간 26만톤으로 전체의 8%에 불과한데 이 물량의 유통경로를 단축해 유통비용을 축소하겠다고 하는 것은 현실과 동떨어진 처방”이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 60∼70년대는 산지-소비지 공영도매시장 수산물의 주된 유통경로였지만 현재는 다양한 유통 채널들이 공존하는 시대”라면서 “직거래, FPC 등 다양한 채널 간에 어떻게 공정한 경쟁을 유도하느냐 하는 등 유통구조를 입체적으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생산자와 소비자들이 다양한 유통주체들을 대상으로 산지에서 소비지까지 어떻게 합리적인 경쟁을 시켜 유통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할 것인지를 정책당국자들이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

저작권자 © 수산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