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산산업총연합회 바다모래채취 반대 대책위원회(대책위)와 황해섬보전센터, 인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인천녹색연합, 인천환경운동연합, 가톨릭환경연대 등 시민·사회단체들이 지난 8일 인천 대이작도 ‘풀등’에서 선갑도 해역 신규 골재채취 예정지 지정 반대를 결의하며 공동 대응키로 했다.

2003년 해양생태계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대이작도 주변해역은 인근 해역에서 계속된 바닷모래 채취로 인해 풀등의 모래톱이 상당부분 쓸려간 상태다. 보전지역으로 지정될 당시 여의도 면적의 309배에 달했던 풀등은 10년도 안돼 3분의 2 이상이 사라졌다.

풀치 또는 하벌천퇴라고 불리우는 ‘풀등’은 썰물 때 3~5시간 보였다가 밀물 때 사라지는 모래섬이다. 바다에서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진 풀등은 강 하구에서 생긴 곳보다 다양한 생태계를 품고 있음과 동시에 바다생물에게 소중한 산란장 역할도 하고 있다.

대이작도 부근과 풀등의 환경상태를 점검한 방문단은 이날 성명서에서 “인천 앞바다는 아름다운 섬들과 풍부한 어족자원으로 우리나라 해양관광과 수산업을 선도하는 보배 같은 해역”이라며 “이런 해역 인근에서 바다모래를 채취하겠다는 것은 도저히 믿기지 않을 정도로 충격적이고 어처구니 없는 일”이라고 골재업자들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어 “골재채취업체들은 이미 선갑도 해역에서 1984년부터 2012년까지 무려 서울 남산의 6배 규모에 달하는 2억8천만㎥의 모래를 마구잡이로 퍼냈다”면서 “특히 연안지역은 우리나라 어선의 90%가 조업하는 곳으로 매우 중요한 어족자원 공급처이며 해양생명의 인큐베이터이자 요람인 곳인데 이를 아무런 대책 없이 훼손하니 어족자원이 번식할리 만무하다”며 탄식했다.

이날 박용오 연안공동대책위원장(경인북부수협 조합장)은 “바닷모래 채취금지는 어족자원 고갈로 이미 벼랑 밑으로 떨어진 우리 수산업을 다시 살리는 최소한의 조치이자 범정부 차원의 당연한 책무”라며 “우리나라 모든 해역에서 바닷모래 채취가 중단될 수 있도록 우리 어업인들과 함께 끝까지 투쟁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장정구 황해섬보전센터 센터장은 “풀등은 인위적으로는 결코 만들어 낼 수 없는 대자연의 선물이자, 반드시 지키고 보전해 대대손손 향유해야 하는 소중한 자산으로 이격 거리 운운하며 바닷모래채취로 인한 피해를 외면하는 골재업체의 주장은 어불성설”이라며 “앞으로 있을 해역이용협의 과정에서 수산업과 해양환경을 충분히 고려한 지자체와 행정기관의 현명한 결정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골재협회 산하 인천지회 소속 15개 회원사들은 2015년 8월부터 선갑도 해역을 신규사업지로 정해 준비작업에 들어간 상이며, 해양수산부는 해상교통안전진단 심의에서 해상교통 안전대책을 철저히 이행해야한다는 등의 조건을 달아 이에 동의했다.

바닷모래 채취 허가가 나려면 앞으로 인천지방해양수산청과 인천시·옹진군 등 관련기관의 ‘해역이용협의’ 및 ‘해역이용영향평가’는 물론 주민 의견수렴 절차 등을 거쳐야 하며 현재 ‘해역이용협의’를 앞두고 있다.

저작권자 © 수산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