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됨에 따라 신보호주의(Neo-Protectionism)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수산물은 FTA로 미국이 혜택을 보고 있으나 추가 이익 확보를 위해 최장 15년의 수입자유화 일정 단축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으 수입 증가에 따른 국내 피해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KMI는 자국 이익 우선주의로 수산물 무역수지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미 FTA 재협상 시 미국산 수산물 수출 확대를 위한 압력이 예상되며, 명태, 가자미 등의 자유화 일정이 단축될 경우 추가 수입 증가에 따른 국내 피해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한-미 FTA 발효 이후 수산물 수입은 발효 전 대비 약 60% 증가해 무역수지가 적자로 전환됐고, 재협상으로 조기에 관세가 철폐되면 무역수지 적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의 통관 시 수산식품 안전 등에 대한 비관세장벽이 심화될 경우 김, 굴 등 주요 수산물 수출에 부담을 줄 것으로 지적했다. 과학적인 식품안전 기준을 강조하고 있는 미국 공화당의 대선 정강에 기초할 때 현재 개정 중인 미국의 ‘식품안전현대화법’이 강화돼 향후 대미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FTA 재협상, 비관세장벽 강화 등에 적극 대비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FTA 재협상에 대비해 기존의 FTA 수입 모니터링을 확대하고, 추가적인 수입 증가에 대비해 현행 직접피해보전제도의 사업 기간 연장, 보전 비율 상향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재협상 시 수산물은 무역 역조 현상을 보이고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협상 카드로 활용하고 비관세 장벽 완화 등을 통한 대미 수산물 수출 동력 확보 방안도 모색해야 하며 또한 미국은 재협상 과정에서 대미 수출의 28%를 차지하는 조제김의 관세 환원(0→6.4%)을 요구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협상력 확보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미국의 식품안전에 대한 통관 기준 강화에 대비해 미국 내 입법 동향의 모니터링 강화, 정부간 협의채널을 통한 사전해결 노력 등이 필요하며 특히 ‘식품안전현대화법’의 세부규칙인 예방적 통제 강화, 라벨링 개정 등의 동향을 파악하고 조제 김 등 주요 수출품의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수산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