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진(東晉)나라 무릉(武陵, 지금의 호남성)이라는 곳에 강(江)에서 물고기를 잡아 생계를 이어가는 한 어부가 있었다. 이날도 강물을 따라 얼마나 멀리 왔는지 그만 길을 잃고 말았다. 갑자기 복숭아나무 숲을 만났는데, 양쪽 언덕을 따라 수백 보에 걸쳐 있는데 그 가운데 다른 나무는 없고 모두 복숭아꽃(桃花)로 덮여 있었다.

향기로운 풀들이 곱고 아름다우며, 떨어진 꽃잎들이 어지러이 흩날리고 있었다. 어부가 심히 그것을 이상히 여겨, 노를 저어 다시 앞으로 나아가서 그 숲의 끝까지 가 보려고 하였다. 복숭아 숲은 물이 흘러나오는 곳에서 끝나고, 곧 산을 하나 만나게 되었는데 산에는 작은 구멍이 있고 그곳에서 마치 빛이 흘러나오는 것 같았다. 어부는 곧 배를 버려두고 입구를 따라 들어가니, 처음에는 아주 좁아서 겨우 사람 몸 하나 통과할 정도였다. 다시 수십 보를 걸어 들어가니 훤하게 탁 트이고 밝아졌다.

토지는 평평하고 넓으며, 집들은 가지런하고, 기름진 밭과 아름다운 연못과 뽕나무, 대나무 같은 것들이 있었다. 밭의 길이 사방으로 통해 있고, 마을 사이에 닭이 우는 소리와 개가 짖는 소리를 서로 들을 수 있어 태평성대의 평화로운 분위기였다. 그런 가운데 왕래하면서 농사를 짓는데 남녀의 옷차림이 모두 어부가 사는 바깥사람과 같았다. 그리고 노인과 어린아이가 모두 환하게 웃으며 즐거워하고 있었다. 어부를 보고는 크게 놀라면서 들어온 경로를 물었다. 어부가 자세히 대답을 하니 곧 초대하여 집으로 데리고 가서, 술을 차려내고 닭을 잡고 밥을 지어 대접하였다.

마을에 이런 사람이 들어왔다는 이야기를 듣고서, 모두 와서 캐물었다. 그리고 그들 스스로 말하기를 선조들이 진(秦)나라 대의 난리를 피하여, 처자식과 마을 사람들을 데리고서, 바깥세상과 단절된 이 절경에 오게 되었다고 말하였다. 그 후 이곳에서 나가지 않으니 마침내 어부가 사는 외부 사람들과 멀어지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어부에게 지금이 어느 세상이냐고 물었다.

그들은 한(漢)나라가 있었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있었으니, 위(魏)나라와 진(晉)나라는 말할 것도 없었다. 이 어부가 하나하나 듣고 아는 바를 자세히 말해주니 모두 탄식하고 놀라워하였다. 나머지 사람들도 각각 이 어부를 자기의 집으로 초청하여서 모두 술과 밥을 대접하였다. 어부는 며칠 머물다가 작별하고 떠났는데, 이 마을 사람 중에서 한 사람이 말하기를 “외부 다른 사람들에게는 말하지 말아 달라”고 부탁하였다.

이 어부는 산의 작은 구멍을 통하여 나온 후에 자신의 배를 찾아 타고서는, 곧 먼젓번의 길을 되짚어 나오면서 약속을 어기고 지나는 곳마다 표시를 해 두었다. 군(郡)청 소재지에 이르러 태수를 만나 뵙고 자기가 무릉도원(武陵桃源) 겪은 일에 대하여 이야기하였다. 태수가 즉시 사람을 파견하여 어부를 따라 가도록 하였다. 먼젓번에 표시해 둔 곳을 찾았으나, 마침내 길을 잃어 다시는 길을 찾지 못하였다. 이 후에도 유자기(劉子驥)라는 선비가 이 말을 전해 듣고 흔쾌히 가려고 계획하였으나 실천하지 못하고 얼마 후 병으로 죽고 말았으니 이후로 마침내 그 길을 묻는 자가 없어 무릉도원은 잊혀진 세상이 되었다.

이 이야기는 도잠(陶潛, 365-427) 즉 도연명이 청년시절에는 유가교육을 받아 치국제민(治國濟民)의 포부를 가졌으나, 나중에 동진(東晉)의 암울한 현실과 문벌사회의 모순에 염증을 느끼고 노장사상(老莊思想)에 경도되었고, 마지막으로 관직생활을 청산하고 전원생활로 일관하면서 그의 마음속에 그린 이상향일지도 모르나 많은 부류의 사람들을 놔두고 어촌의 가난하고 청빈한 어부를 통하여야 만이 무릉도원을 찾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던져주고 있다고 하겠다.

허균이 쓴 홍길동전에서도 사회적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이상향(理想鄕)인 ‘율도국’ 이야기가 나오고, 안견의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에서도 안평대군이 꿈에서 보았다는 무릉도원이 그려져 있다. 또한 박지원의 ‘허생전(許生傳)’에도 꿈을 이루는 ‘빈 섬’이야기가 나온다. 현대소설인 이청준의 ‘이어도’에서도 전해오는 전설속의 이상향을 말하고 있다.

성경에서도 젖과 꿀이 흐르는 약속의 ‘가나안 땅’(출6:)에 대한 이야기가 있고, 서양의 19-20세기 등장하여 100여년을 지속했다던 ‘보헤미안’ 공동체도 이상향을 추구했었다. 영국의 법률가이며 저술가인 토마스 모어의 저서 ‘유토피아’에도 16세기 중세에서 근대화로 넘어가는 르네상스 시기의 사람들이 꿈꾸는 이상향을 보여주고 있다. 영국의 시인 예이츠는 고향을 떠나 런던에 체류할 때 고향 아일랜드가 그리워 어릴 때 꿈속에 남아 있던 ‘이니스프리 섬의 호수’를 현존하는 이상향으로 꿈꿨다.

이와 같이 무릉도원(이상향)은 인류가 바라는 최고의 형태로서 실제로 우리가 사는 삶속에서 나타난 적도 없지만 모두가 예찬하고 그리워하고, 애타게 소망하는 것은 수천 년 수만 년이 지나도 인류가 소망하는 파라다이스(Paradise)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비슷하다. 반면 영국의 시인 밀턴의 장편 서사시 ‘실낙원(失樂園)’에서는 악마의 유혹에 의해 타락한 인간이 에덴동산(창3:)에서 쫓겨나는 신이 인간에게 행하는 합당한 방법을 보여주기도 한다.

앞에서 언급한 무릉도원은 도연명의 도화원시(桃花源詩)에 나와 있지만 굴속의 지명과 인명이 반드시 실존했던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굴속 마을에는 당시의 사회에 대한 불만과 이상사회를 추구하는 작자의 꿈이 드러나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임진년 새해에 내가 마음속으로 꿈꾸는 바람직한 소망의 세계, 즉 나는 어떤 무릉도원을 꿈꾸면서 당면한 수산업의 어려움을 극복할 것인가는 각자 자신의 마음속에 있지 않을까?

저작권자 © 수산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